추석이라 선물로 상품권을 받게 되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되는데요! 그중에서도 온누리 상품권을 받게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사실 속마음이야 (현금으로 주면 더 좋을 텐데)일 것 같습니다. 머니머니 해도 머니가 최고 ! 그중에서도 캐시가 최고 !
현금은 사용처를 고민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지 않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요. 하지만 현금을 직접 선물하기에는 조금 부담스럽지만, 그래도 저는 현금 주시면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아마도 추석 선물로 온누리 상품권을 받은 분들 있으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요, 없는 것보다는 낫지 않습니까!
요즘 인플레이션 때문에 물가가 상승해서 특히나 문어, 낙지, 게, 생선, 멍게와 같은 해산물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해산물을구매하기에 더욱 부담이 될 것입니다.
해양수산부에와 사단법인 한국수산회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를 완화하고자 전통시장 온누리 상품권 환급행사를 9월 12일까지 진행한다.
상품권 수령 방법
시장 내 참여 점포에서 국내산 수산물을 구입한다.
구매 영수증에 사장님 사인과 수입품과 기재
부스 방문하여 영수증 접수 후 상품권 수령
환급기준
1. 구매금액이 육만팔천원(68,000원)일 경우 환급액은 이만원(20,000원)
2. 구매금액이 오만천원(51,000원)에서 육만칠천구백원(67,900원)일 경우 환급액은 만오천원(15,000원)
3. 구매금액이 삼만사천원(34,000원)에서 오만구천원(59,000원)일 경우 환급액은 만원(10,000원)
4. 구매금액이 만칠천원(17,000원)에서 삼만삼천구백원(33,900원)일 경우 환급액은 오천원(5,000원)이 예상된다.
이번 환급행사에는 총 27개 시장이(약 2000개 점포가) 참여를 합니다. 그 중 24곳은 9월 9일 금요일까지만 환급행사를 진행하며, 3개소는 9월 12일 월요일까지 행사를 진행합니다.
추석 연휴가 끝나도 계속되는 환급행사는 9월 12일 월요일까지 진행될 예정인데 이에 해당하는 3개소는 다음과 같다.
1. 광주에 있는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
2. 인천에 있는 인천종합어시장, 소래포구전통어시장
*온누리 상품권 사용 시 주의할 점*
온누리 상품권은 제로페이와 다릅니다. 제가 어떻게 알게되었을까요? 네, 바로 제로페이 가맹점에 가서 온누리 상품권을 내밀고 결제를 요청한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제로페이와 온누리 상품권의 공통점은 이것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제한적이라는 것뿐입니다. 주의할 점은 제로페이 가맹점일 경우, 온누리 상품권도 사용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아닌 경우도 있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사용 전에 제로페이 가맹점인가요? 혹은 온누리 상품권 사용 가능한가요?라고 물어보고 사용하시는 편이 현명한 선택일 것입니다.
그리고 이 두 개가 무슨 차이냐 하면, 제로페이는 말 그대로 수수료가 제로인 경우입니다. 한마디로 카드사를 거치지 않고 나의 통장에서 바로 돈이 인출되는 계좌이체와 같은 구조를 보이기 때문에 카드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 것입니다.
반면, 온누리 상품권은 말 그대로 '상품권'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익숙한 문화상품권 혹은 백화점 상품권을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갤럭시 사용자라면, 온누리상품권을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검색하면(애플도 아마 되지 않을까 싶네요) 다음과 같이 어플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온누리 상품권은 구매 시 약 10%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질문**
온누리 상품권을 받았습니다. 전통시장에서만 사용 가능한가요?
답: 아닙니다. 온누리 상품권 어플을 사용하면,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까운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