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주항공 참사, 랜딩기어(착륙장치)란? 애도기간 분향소 장소

by I리뷰U 2024. 12. 29.
728x90

제주항공 참사 요약: 방콕→무안 착륙 사고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무안공항으로 향하던 비행기가 땅에 내려오는 과정인 착륙 중에 사고가 났습니다. 비행기는 목적지에 도착하면 랜딩기어(착륙장치)를 펼쳐 활주로에 안전하게 착륙해야 하지만, 이번 사고에서는 랜딩기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기체가 동체로 활주로에 내려오려다 활주로 외벽과 충돌하며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하고, 승무원 2명만 생존했습니다.

랜딩기어(착륙장치)란?

랜딩기어는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지면과의 접촉을 돕는 필수 장치입니다. 바퀴와 서스펜션(완충장치)로 구성되며, 착륙 시 충격을 흡수하고 비행기를 안전하게 멈출 수 있도록 합니다. 랜딩기어는 필요하지 않을 때 기체 안으로 들어가 공기 저항을 줄이며, 착륙 전에는 반드시 펼쳐져야 비행기가 안전하게 활주로에 내려올 수 있습니다. 이번 사고는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아 동체로 활주로에 내려오려다 문제가 발생한 사례입니다.

 

랜딩기어(착륙장치)

국내 항공사 항공기 보유 현황 및 보잉 737-800 비율

항공사총 보유 항공기 수보잉 737-800 수비율 (%)

대한항공 167 2 1.2%
아시아나항공 81 0 0%
제주항공 42 42 100%
티웨이항공 30 28 93.3%
진에어 27 27 100%
에어부산 22 21 95.5%
이스타항공 10 10 100%
에어서울 6 0 0%
플라이강원 0 0 0%
에어로케이 3 0 0%
에어프레미아 3 0 0%
총계 391 130 33.2%

보잉 737-800은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종으로, 효율성과 경제성 덕분에 주력 항공기로 자리 잡았습니다. 국내 전체 항공기 중 약 37.5%가 737-800이며,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은 보유 항공기 모두를 이 기종으로 운용합니다. 티웨이항공과 에어부산도 대부분 737-800을 사용하며, 이 기종은 LCC 운영의 핵심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제주항공 참사 국가 애도기간

정부는 제주항공 참사로 인한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29일부터 1월 4일 24시까지 일주일간 국가 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조기가 게양되고 공직자들은 애도 리본을 착용하며, 유가족 지원을 위한 통합지원센터가 현장에 마련됩니다.

 

제주항공 참사 애도 및 분향소 안내

정부는 제주항공 참사로 희생된 분들을 추모하기 위해 국가 애도기간을 12월 29일부터 1월 4일 24시까지 지정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조기가 게양되고, 공직자들은 애도 리본을 착용하며, 유가족 지원을 위한 통합지원센터가 운영됩니다.

희생자를 기리는 합동분향소는 전국 17개 시·도에 설치되었습니다. 주요 분향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 서울광장
  • 광주: 5·18민주광장
  • 전남: 전남도청 앞
  • 세종: 세종시청 광장

분향소는 지역 주민들이 희생자를 추모할 수 있도록 운영되며, 방문 시 방역 수칙을 준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위치와 운영 시간은 해당 지자체 공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통한 사고로 떠나신 분들의 안식을 간절히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