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복지할인 신청 방법 및 접수기관
신청 방법 | 접수기관 | 신청기간 | 문의처 |
---|---|---|---|
온라인 신청 |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 | 상시신청 | 한전 고객센터 123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한전사업소 | ||
기타 (메일, 우편, 팩스 등) | 한전사업소, 고객센터 123 |
전기요금 복지할인 대상 안내
한국전력공사에서 제공하는 전기 요금 복지할인에 대한 대상별 상세 안내입니다. 아래 정보를 통해 복지할인 대상 여부를 확인하세요.
대상 | 대상 설명 |
---|---|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5·18민주유공자 | 국가를 위해 헌신한 분들을 위한 할인 혜택 |
기초생활수급자 |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최저생계 가구에 대한 할인 혜택 |
차상위계층 |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 수준의 저소득층 가구 할인 혜택 |
가구원 중 자녀가 3인 이상인 가구 | 다자녀를 둔 가구에 대한 전기 요금 지원 |
가구원수가 5인 이상인 가구 | 다인 가구에 대한 전기 요금 지원 |
호흡기 장애 또는 희귀난치성질환으로 생명유지장치를 사용하는 가구 | 산소발생기, 인공호흡기 등 생명유지장치 사용 가구에 대한 전기 요금 지원 |
출산 가구 | 출산을 맞이한 가구에 대한 전기 요금 지원 |
전기 요금 복지할인 지원내용
전기요금 복지할인 지원내용
할인율/한도 | 대상 | 여름철 한도(6~8월) |
---|---|---|
16,000원 한도 할인 | 장애인, 1~3급 상이자, 독립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생계, 의료) | 20,000원 |
10,000원 한도 할인 | 기초생활수급자(주거, 교육) | 12,000원 |
8,000원 한도 할인 | 차상위계층 | 10,000원 |
전기요금의 30% 할인 | 사회복지시설(일부 제외) | - |
전기요금의 30% 할인 (16,000원 한도) | 장애인 가구, 다자녀 가구, 대가족 가구, 출산 가구 | - |
전기 요금 복지할인은 다양한 대상자에게 제공됩니다. 장애인,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등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개인 또는 가구에게 월 16,000원(여름철 20,000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또한, 차상위계층과 기초생활수급자(주거, 교육)에게는 각각 월 8,000원(여름철 10,000원), 월 10,000원(여름철 12,000원)의 할인을 제공합니다.
특히, 호흡기 장애 또는 희귀난치성질환을 가진 가구, 다자녀 가구, 대가족 가구, 출산 가구에게는 전기요금의 30%를 할인해주며, 이는 월 16,000원으로 한정됩니다. 사회복지시설은 전기요금의 30% 할인 혜택을 받으나, 일부 시설은 제외됩니다. 이러한 지원은 대상자나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생활안정에 기여하는 중요한 조치입니다.전기 요금 복지할인 안내
지원 대상자에 대한 할인 혜택
전기 요금 복지할인은 다양한 대상자에게 제공됩니다. 장애인,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등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개인 또는 가구에게 월 16,000원(여름철 20,000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또한, 차상위계층과 기초생활수급자(주거, 교육)에게는 각각 월 8,000원(여름철 10,000원), 월 10,000원(여름철 12,000원)의 할인을 제공합니다.
전기요금 복지할인 추가 할인 혜택
특히, 호흡기 장애 또는 희귀난치성질환을 가진 가구, 다자녀 가구, 대가족 가구, 출산 가구에게는 전기요금의 30%를 할인해주며, 이는 월 16,000원으로 한정됩니다. 사회복지시설은 전기요금의 30% 할인 혜택을 받으나, 일부 시설은 제외됩니다.